친구의 결혼식 혹은 직장 동료의 결혼식! 축의금을 얼마나 내야 적당할까요? 결혼식 축의금은 항상 고민거리인데요. 결혼식에 직접 참석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결혼식 장소나 신랑 신부와의 관계에 따라 축의금의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호텔이나 웨딩홀과 같은 고급 장소에서 결혼식을 할 경우, 더 큰 금액을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이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한은행에서 조사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의 통계를 살펴보며 결혼식 축의금 기준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
결혼식 축의금 기준: 얼마가 적당할까?
결혼식 축의금에 대해 신한은행에서 조사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식에 참석할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10만 원을 축의금으로 낸다고 답했습니다.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7.4%가 10만 원을 내는 것이 적당하다고 답했으며, 5만 원이 16.9%, 20만 원이 8.6%, 그리고 15만 원을 내는 사람이 1.5%를 차지했습니다.
즉, 일반적인 결혼식에서는 10만 원을 기본 축의금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참석 여부에 따라 축의금 액수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호텔 결혼식 축의금, 더 많이 내야 할까?
호텔 결혼식에서의 축의금 기준
결혼식이 웨딩홀이 아닌 호텔에서 진행될 경우, 축의금 금액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지는데요. 호텔에서 결혼식을 할 경우 식대가 더 비싸기 때문에 축의금도 조금 더 많이 내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해요. 신한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호텔 결혼식에서는 10만 원을 내는 사람이 57.2%로 여전히 가장 많지만, 20만 원을 낸다는 응답도 15.6%로 적지 않았습니다. 또한, 5만 원을 낸다는 응답이 10.8%, 15만 원이 9%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호텔 결혼식에서는 일반적으로 10만 원 이상을 내며, 가까운 지인일 경우 20만 원까지도 내고 있습니다.
참석하지 않고 봉투만 보낼 경우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고 축의금을 보내는 경우, 평균적으로 5만 원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실제로, 보고서에서도 참석하지 않고 봉투만 보낼 경우 52.8%의 응답자가 5만 원을 보내겠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10만 원을 보내는 응답자가 36.7%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결혼식에 가지 못할 때는 상황에 맞게 5만 원에서 10만 원 사이의 축의금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20·30대가 청첩장 받는 방법에 따른 축의금 금액 차이
흥미로운 사실은, 20대와 30대는 청첩장을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축의금 금액을 다르게 고려한다는 점입니다. 직접 만나서 받은 청첩장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금액을 축의금으로 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 응답자의 11.7%가 청첩장을 받은 방식에 따라 축의금 금액을 조정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와 달리, 40대 이상의 응답자들은 청첩장을 받은 방법보다는 주로 사회적 관계나 자신이 받은 금액을 기준으로 축의금을 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축의금 결정에 중요한 요소들
사회적 관계
축의금 금액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신랑 신부와의 '사회적 관계'입니다. 이 기준은 연령대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20·30대의 28.9%와 40대 이상의 32.7%가 가장 중요한 결정 요소로 꼽았습니다.
즉, 가까운 지인이나 가족의 결혼식이라면 더 많은 금액을, 상대적으로 덜 친한 사람일 경우에는 기본 금액을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내가 받은 금액
특히 40대 이상의 경우, 자신이 받은 축의금 액수를 기준으로 하는 비율이 높은데, 이는 결혼식 참석 횟수가 많아지면서 자신이 받은 축의금을 되돌려주는 문화가 형성된 결과로 보입니다. 40대 이상 응답자의 31.1%가 자신이 받은 금액을 축의금 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즉, 과거에 자신이 받은 축의금이 많다면, 그에 맞춰 축의금을 내는 것이 예의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나의 경제적 상황
한편, 축의금을 내기 전에 자신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혼식이 잦아지거나, 갑자기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했을 때는 지출 여력을 고려해 축의금을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30대 응답자의 12.3%와 40대 이상의 12.1%가 경제적 여건을 고려해 축의금을 결정한다고 답했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나만의 원칙 세우기
결혼식 축의금을 고민하지 않으려면, 자신만의 기본 원칙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 결혼식에는 10만 원을 내고, 호텔 결혼식에는 15만 원에서 20만 원을 내는 식으로 기준을 정해두면 좀 더 수월하게 축의금을 정할 수 있습니다. 애매한 사이라면 함께 동행하는 지인과 금액을 맞추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참석하지 못할 경우에는 5만 원에서 10만 원 사이로 정해두고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결혼식 축의금은 장소나 참석 여부, 신랑 신부와의 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앞에서 살펴본 통계 결과 요즘 사람들은 보통 10만원을 기본으로 생각하며, 호텔 결혼식이나 가까운 지인의 결혼식에서는 그 이상도 기꺼이 내고 있습니다. 타인이 얼마를 내는지 그 금액에 맞추는 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나의 경제적 여건을 생각하고 예의를 갖춰 성의껏 축의금을 전달한다면 결혼 당사자도 충분히 이해하고 고마워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축의금은 품앗이 문화도 있으니 너무 부담스럽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결혼하기 좋은 가을날인데요. 결혼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행복한 가정 꾸려가시길 바라며, 결혼식에 참석하시는 분들은 성의껏 준비한 축의금과 함께 진심어린 축하를 전해주신다면 모두가 행복한 결혼식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ㅡ
함께 보면 좋은 글
ISA 계좌의 장단점 총정리! 세금 절세 혜택 똑똑하게 누리기
ISA 계좌의 장단점 총정리! 세금 절세 혜택 똑똑하게 누리기
ISA 계좌의 장단점을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 ISA 계좌는 세금 혜택과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계좌지만, 주의해야 할 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ISA 계
darakstory.tistory.com
연차 발생 기준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벌써 올해도 반 이상이 지났습니다. 직장에 다시고 계신다면 연차가 많이 남으셨는지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차 휴가와 연차수당에 대해 궁금하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차 발생 기
darakstory.tistory.com
셀프 부케 말리기 성공 후기 '부케 유리돔 무드등' 3주 완성!
셀프 부케 말리기 성공 후기 '부케 유리돔 무드등' 3주 완성!
지난 5월에 부케를 받고 셀프 부케 말리기 선물을 준비한다는 포스팅을 작성했었는데요. 과연 그 결과는? 대성공! (꺄아~) 과연 예쁘게 말릴 수 있을까, 거꾸로 매달아 자연 건조시키는데 너무 많
darakstory.tistory.com
'경제이야기 > 재테크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부가세 계산기 : 해외직구 시 관부가세 미리 계산하기 (5) | 2024.09.30 |
---|---|
김장철 배추 가격 폭등 원인! '금배추' 시대, 더 오를까? (4) | 2024.09.28 |
미 연준 50bp 빅컷 금리인하! 미국 경제 전망은? (4) | 2024.09.20 |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 방법, 모의계산기, 지급 금액 한눈에 확인하기! (6) | 2024.09.03 |
연차 발생 기준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0) | 2024.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