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한 제도로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제도가 있다. 중소 및 중견기업에 재직중인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들을 위해 연 1.2%의 낮은 금리로 최대 1억 원까지 전세보증금을 빌려주는 제도인데, 이건 모르고 안 받으면 나만 손해! 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에 1.2% 금리라니 이건 뭐 거저 주는 거나 다름 없다. (그리고 필자도 중기청 전세대출을 받아 1회 연장하여 지금까지도 잘 지내고 있다.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청년들에게는 꿀 혜택!) 그럼 지금부터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자격조건
1. 주택 : 무주택자
2. 소득기준 : 3,500만 원 이하(단, 맞벌이 부부의 경우 5,000만 원 이하)
3. 나이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군 복무 기간 최대 5년까지 인정)
4. 자산 : 2022년 기준 3억 2,500만 원 이하
5. 근로 및 사업 형태 :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청년 창업자
6. 계약 : 임대차 계약 체결 후 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들을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주관하는 제도이다. 이를 활용하면 주거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위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대출이 가능하다.
대출 한도
1억 원(임차보증금의 100% 이내,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신용보증서인 경우 80% 이내)
임차보증금 2억원 이하의 주택이어야 가능하다. 물론 1억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 서울이나 경기도에 거주할 경우 1억원 이하의 집은 찾아보기가 힘든 것이 현실. 나머지 보증금은 직접 구해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대출한도가 아쉬운 부분 중 하나이다. 나의 경우 나머지 보증금은 모은 돈 탈탈 털고 그것도 모자라 신용대출을 받아서 계약했었다. 다행히 그땐 금리가 지금처럼 높은 금액이 아니어서 1년 내 다 갚아버렸다는. 암튼 나머지 보증금은 본인이 충당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적당한 집을 구해야하는 수밖에 없다.
대출 금리 및 기간
금리 : 연 1.2%
기간 : 기본 2년에서 최대 10년(2년 단위로 4회 연장시)
한도가 낮긴 하지만 그만큼 금리가 저렴한 게 이 상품 최고 장점이다. 금리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1.2%의 금리는 국내에서 발행된 상품 중 저소득 계층 전용 상품 제외 가장 저렴한 금리를 자랑한다. 또한,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기간은 기본 2년으로 4회 연장까지 최대 10년 이용할 수 있다.
* 1회 연장 시점에서 중기청 조건에서 벗어나거나, 중기청 조건과 관계없이 2회 이상 연장부터는 버팀목 금리가 적용되니 이것도 참고해두자. 버팀목 금리도 최대 2.1%로 가장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해도 그리 큰 금리는 아니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수준이다.
신청방법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임대차계약서상 잔금 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까지 신청해야 한다. 계약갱신의 경우 계약갱신일(월세에서 전세로 전환 계약한 경우에는 전환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 기금e든든,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또는 은행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다. 필요서류의 경우 각 은행에서 상담을 받으면 친절하게 알려준다. 서류가 꽤 많은데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하나하나 준비해보면 된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취급 은행
우리은행 1599-0800
국민은행 1599-1771
기업은행 1566-2566
농협은행 1588-2100
신한은행 1599-8000
이 제도는 2023년 12월까지 운영 예정이라고 하니 새로운 살 곳을 찾고 있는 중소기업 청년들은 잘 알아보고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경제이야기 > 재테크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다 적금 - 사이다뱅크 적금 금리 이자 정리 (0) | 2023.01.10 |
---|---|
카뱅 자유 적금 -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금리 이자 총정리 (0) | 2023.01.08 |
[영화 싸게 보는 법] 영화 티켓 할인되는 선착순 쿠폰 받기 (0) | 2022.09.04 |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총정리! 매달 20만원 지원 받자! (0) | 2022.05.20 |
전월세신고제(주택임대차 신고제) 대상 신고방법은? 6월 1일 이후 과태료 100만원 부과 (0) | 2022.05.17 |
댓글